與 전대 8월 개최 거론에… 떠오르는 ‘한동훈 등판론’
컨텐츠 정보
- 352 조회
- 목록
본문
출마 여부가 전당대회 최대 변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총선 다음날인 4월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위원장직 사퇴 입장을 밝히고 있다./뉴스1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출 전당대회를 앞두고 ‘한동훈 등판론’이 불거지며 여권 내부가 술렁이고 있다. 당내에서는 “한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 여부가 이번 전당대회의 유일한 변수”라는 말까지 나온다.
4·10 총선의 여운이 이어지던 지난달까지만 해도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는 시기상조라는 반응이 많았다. 한 전 위원장 본인부터 지난달 20일 소셜미디어에 “시간을 갖고 성찰하겠다”고 했다. 지난달 26일 한 지도부 관계자는 취재진이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를 묻자 “어떻게 해도 큰 차이가 없다. 어차피 나경원이 당대표가 되지 않겠느냐”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불과 10여 일 만에 당내 공기가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 관계자는 “‘한동훈 카드’가 나오기만 하면 이기는 ‘조커’가 된 분위기”라며 “전당대회는 한동훈 출마 문제만 남은 상황처럼 보인다”고 했다. 이는 최근 한 전 위원장의 행보와도 관련 있다고 분석된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 3일 당직자들과 만찬을 하고 “정기적으로 보며 교류하자”고 했다. 낙선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위로하는 등 일거수일투족이 당내 관심을 받고 있다. 총선 전까지 1만8000명 선을 유지하던 한 전 위원장의 인터넷 팬클럽 ‘위드후니’ 회원은 총선 참패 후 오히려 4만7000명 선으로 급증했다. 정치권에서는 “한 전 위원장이 무대에서 내려가려는 것 같지 않다”는 해석이 나왔다.
그래픽=정인성
그러다 보니 당내 각종 견제구가 한 전 위원장을 향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8일 소셜미디어에 “대선 경선 출마 예정자는 당권·대권 분리 당헌상 (대선 1년 6개월 전인) 2025년 9월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당대표 선거에 출마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했다. 대선 후보는 당대표 선거에 나와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친윤’ 이철규 의원도 SBS라디오에 나와 “내가 이번에 원내대표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는 공천관리위원으로서 우리가 진 선거 결과에 느낀 책임감이 있다”고 했다. 한 전 위원장 역시 ‘원톱’으로 이끈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전당대회에 불출마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전당대회 시점도 논란이다. 애초 6월 말~7월 초 예정됐던 전당대회는 최근 취임한 황우여 비대위원장이 “물리적 준비 시간이 부족하다”며 한 달 이상 연기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치권에서는 전당대회 시점이 총선과 멀어질수록 한 전 위원장의 총선 책임 이미지가 희석되며 출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그러자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날 퇴임 기자 간담회에서 “6말 7초쯤 전당대회를 빨리 해 조기에 당 지도 체제를 정비하고 당을 혁신하자는 데 총의가 모아졌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다른 논란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전대 연기론에 공개적으로 제동을 건 것이다. ‘다른 논란’에는 한동훈 등판론 등이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최근 여론조사에서 한 전 위원장이 여전히 보수 진영 대선 후보 1위로 나오고 있는 만큼 전당대회를 빨리 치르는 게 한 전 위원장에게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당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윤상현 의원은 통화에서 “전당대회 한두 달 늦춘다고 총선 대참패 원인이 있는 한 전 위원장이 나올 수 있겠느냐”고 했다.
당내에서는 이번 전당대회에 윤상현·김태호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출마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불출마 가능성이 나오고 있고,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나경원 당선자 측 역시 “애초 전당대회에 나가겠다고 한 적이 없다”며 한발 물러선 분위기다. 당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쉽게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한 전 위원장 입장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주변 의견을 경청하면서도 현재까지 전당대회 준비 움직임은 드러난 것이 없다는 평이 나온다. 당내에 한 전 위원장을 대리해 전대 준비 등 사전 작업을 할 3선급 ‘친한’ 의원이 많지 않다는 현실적 한계도 거론된다.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출 전당대회를 앞두고 ‘한동훈 등판론’이 불거지며 여권 내부가 술렁이고 있다. 당내에서는 “한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 여부가 이번 전당대회의 유일한 변수”라는 말까지 나온다.
4·10 총선의 여운이 이어지던 지난달까지만 해도 한 전 위원장의 당대표 출마는 시기상조라는 반응이 많았다. 한 전 위원장 본인부터 지난달 20일 소셜미디어에 “시간을 갖고 성찰하겠다”고 했다. 지난달 26일 한 지도부 관계자는 취재진이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를 묻자 “어떻게 해도 큰 차이가 없다. 어차피 나경원이 당대표가 되지 않겠느냐”고 할 정도였다.
하지만 불과 10여 일 만에 당내 공기가 바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 관계자는 “‘한동훈 카드’가 나오기만 하면 이기는 ‘조커’가 된 분위기”라며 “전당대회는 한동훈 출마 문제만 남은 상황처럼 보인다”고 했다. 이는 최근 한 전 위원장의 행보와도 관련 있다고 분석된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 3일 당직자들과 만찬을 하고 “정기적으로 보며 교류하자”고 했다. 낙선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위로하는 등 일거수일투족이 당내 관심을 받고 있다. 총선 전까지 1만8000명 선을 유지하던 한 전 위원장의 인터넷 팬클럽 ‘위드후니’ 회원은 총선 참패 후 오히려 4만7000명 선으로 급증했다. 정치권에서는 “한 전 위원장이 무대에서 내려가려는 것 같지 않다”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다 보니 당내 각종 견제구가 한 전 위원장을 향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8일 소셜미디어에 “대선 경선 출마 예정자는 당권·대권 분리 당헌상 (대선 1년 6개월 전인) 2025년 9월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당대표 선거에 출마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했다. 대선 후보는 당대표 선거에 나와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친윤’ 이철규 의원도 SBS라디오에 나와 “내가 이번에 원내대표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는 공천관리위원으로서 우리가 진 선거 결과에 느낀 책임감이 있다”고 했다. 한 전 위원장 역시 ‘원톱’으로 이끈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전당대회에 불출마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전당대회 시점도 논란이다. 애초 6월 말~7월 초 예정됐던 전당대회는 최근 취임한 황우여 비대위원장이 “물리적 준비 시간이 부족하다”며 한 달 이상 연기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치권에서는 전당대회 시점이 총선과 멀어질수록 한 전 위원장의 총선 책임 이미지가 희석되며 출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그러자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날 퇴임 기자 간담회에서 “6말 7초쯤 전당대회를 빨리 해 조기에 당 지도 체제를 정비하고 당을 혁신하자는 데 총의가 모아졌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다른 논란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전대 연기론에 공개적으로 제동을 건 것이다. ‘다른 논란’에는 한동훈 등판론 등이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최근 여론조사에서 한 전 위원장이 여전히 보수 진영 대선 후보 1위로 나오고 있는 만큼 전당대회를 빨리 치르는 게 한 전 위원장에게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당대표 후보로 거론되는 윤상현 의원은 통화에서 “전당대회 한두 달 늦춘다고 총선 대참패 원인이 있는 한 전 위원장이 나올 수 있겠느냐”고 했다.
당내에서는 이번 전당대회에 윤상현·김태호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출마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불출마 가능성이 나오고 있고,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나경원 당선자 측 역시 “애초 전당대회에 나가겠다고 한 적이 없다”며 한발 물러선 분위기다. 당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쉽게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한 전 위원장 입장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주변 의견을 경청하면서도 현재까지 전당대회 준비 움직임은 드러난 것이 없다는 평이 나온다. 당내에 한 전 위원장을 대리해 전대 준비 등 사전 작업을 할 3선급 ‘친한’ 의원이 많지 않다는 현실적 한계도 거론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