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심해에 축적된 열' 탈탄소화 후에도 기후 회복 방해
컨텐츠 정보
- 325 조회
-
목록
본문
지구 온난화로 해양 심해에 축적된 열이 탄소중립(탈탄소화) 후에도 다시 표층으로 방출되면서 기후 회복을 방해할 것이라는 슈퍼컴퓨터 예측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포스텍(POSTECH) 환경공학부 국종성 교수 연구팀은 탄소중립 후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 패턴을 세계 최초로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예측했다고 오늘(2일) 밝혔습니다.
탄소중립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인간 활동으로 더 증가하지 않도록 순 배출량(배출량-흡수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가 탈탄소화에 노력하고 있음에도 탄소중립 이후 기후가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공동연구팀은 지구 온난화로 심해에 축적된 열이 탄소중립 후 다시 표층으로 방출되면서 특정한 기후변화 패턴을 만들어 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KISTI 슈퍼컴퓨터 '누리온'을 이용, 최첨단 지구 시스템 모델의 해양 심해에 가상으로 열을 추가하는 대규모 시뮬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해양은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열의 약 90% 이상을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심해에 축적된 열이 탄소중립 이후 다시 표층으로 방출되면서 기후 회복을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연직 안정도가 작은 해양에서 열이 많이 방출돼 특정한 기후변화 패턴을 형성했습니다.
즉, 해양의 늦은 반격으로 탈탄소화 정책에 의한 기후 회복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고위도 해양에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돼 고위도의 온도 상승이 두드러지고, 적도 용승이 존재하는 적도 태평양에서는 엘니뇨가 지속해 나타나는 패턴이 나타날 것으로 슈퍼컴퓨터는 예측했습니다.
또 전 지구 자오면(자오선을 포함하는 평면) 순환의 시작점인 열대수렴대(ITCZ)가 남하하는 경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반도는 여름철 강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지훈 포스텍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깊은 바다를 통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랫동안 우리 인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탄소중립의 시급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실렸습니다.
(사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