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 21일 KBO 5경기
컨텐츠 정보
- 5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KT 위즈 (KT)
-
선발: 고영표
-
특징: 맞춰잡기형, 체인지업과 투심을 주로 사용. 이닝 소화는 평균 이상이나, WHIP와 피안타율이 높아 다수의 주자가 누적될 때 불안정성을 보임.
-
위기관리: 좌타자 상대 장타 허용 위험이 있고, 득점권 위기에서 제구 흔들림으로 인해 한순간에 무너질 가능성 존재. 최근 3경기에서도 기복이 심함.
-
불펜: 상위권 안정성, 2점대 이하 ERA를 유지하며, 연투 부담도 크지 않음. 그러나 중간 계투 구간에서 볼넷 허용 시 실점 패턴이 반복됨.
-
타선: 상위 타순의 출루와 장타력은 괜찮지만, 하위 타선의 부진이 문제. 득점권 잔루가 많고, 중후반 공격력이 끊기기도 함. 좌타자 라인업의 장타 비중이 중요한 변수.
-
기아 타이거즈 (기아)
-
선발: 올러
-
특징: 리그 정상급 파워 피처, WHIP 0.89, 직구와 슬라이더로 탈삼진 유도.
-
위기관리: 경기 후반 피로 누적 시 피안타율 상승. 좌타자 상대로 체인지업 활용도가 떨어져 대량 실점 리스크 존재. 그러나 전체적으로 6~7이닝 2실점 이하 안정적인 투구 기대 가능.
-
불펜: 불안한 변수. 4~5점대 ERA, 볼넷 허용률 높음, 선발이 6이닝 이상 버텨주지 않으면 급격히 흔들림.
-
타선: 최근 상위 타순의 장타력과 연결 능력이 폭발. OPS, ISO는 리그 최상위권. 우투수 상대 성적이 특히 좋고, 초반부터 공격적으로 밀어붙임.
-
분석
-
KT는 선발 고영표의 불확실성이 문제입니다. 위기관리 능력이 떨어지고, 특히 좌타자 상대 장타 허용과 득점권 제구 흔들림이 경기 중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불펜은 안정적이지만 중간 계투에서의 실점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하위 타선의 부진이 공격 흐름을 끊을 수 있어, 후반에 실점 위험이 큽니다.
-
기아는 선발 올러의 안정감과 타선의 폭발력이 강점입니다. 올러는 리그 정상급 파워 피처로, 경기 후반 피로 누적이 약점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6~7이닝을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습니다. 기아의 타선은 특히 우투수 상대 성적이 좋고, 장타력과 연결 능력이 뛰어나 초반부터 공격적으로 밀어붙이기 좋습니다.
-
핸디캡과 언더오버에서 기아 승이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초반은 팽팽하겠지만, 후반에 기아의 타선이 선발 고영표와 KT의 불펜을 압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종 선택
-
일반: 기아 승
-
승1패: 기아 승
-
핸디캡: 기아 승
-
언더오버: 오버
기아는 타선의 폭발력과 선발의 안정감이 두드러지며, KT의 불확실한 선발과 하위 타선 부진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후반 경기에서 기아가 점수 차를 벌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NC 다이노스 (NC)
-
선발: 신민혁
-
특징: 평균자책 5.02, 이닝 소화력은 4이닝대. 피안타와 피홈런이 많고 볼넷도 적지 않음. 제구와 장타 억제에서 불안정성 존재.
-
위기관리: 3~5이닝 사이에 급격히 흔들리는 경향이 있으며, 불펜 부담이 반복. 최근 5경기 3승2패, 이닝별 실점 분산이 크고, 후반 이닝 대량 실점의 위험 있음.
-
불펜: 몇몇 핵심 투수 제외하면 불안정한 불펜. 5점대 ERA를 기록하는 투수들이 있어, 연투와 피로로 후반에 급격한 실점 가능성 있음.
-
타선: 상위 타순의 집중력은 있지만, 하위 타선의 생산성이 낮음. 득점 연결이 매끄럽지 않고 불펜 운영이 꼬이면 경기 후반 리드를 지키지 못할 위험이 큼.
-
한화 이글스 (한화)
-
선발: 황준서 (오프너)
-
특징: 전형적인 선발 투수 기록은 없지만, 불펜의 리그 내 효율성은 최상위권. ERA 3.24, 최근 5경기 실점 안정적. 다양한 구간에서 1~2점대 불펜이 균형 있게 분포.
-
위기관리: 삼진 능력과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나며, 좌우 맞춤 투입으로 상대 타선에 효과적으로 대응. 연투 시 볼넷이 늘 수 있으나 불펜 뎁스가 깊고 안정적임.
-
타선: 상위 1~3번의 출루율과 중심 타선의 장타력, 클러치 상황 대응이 뛰어나며 최근 득점권 집중력이 높음. 하위 타선의 생산성은 아쉬움.
-
공격 패턴: 빠른 선취점과 중후반 집중력에서 강점.
-
분석
-
선발-불펜 매치업:
-
NC의 신민혁은 이닝 소화력이 부족하고, 제구와 장타 억제 능력이 불안정하여 후반으로 갈수록 실점 위험이 큽니다. 불펜의 피로 누적과 불안정성도 문제입니다.
-
한화는 오프너와 불펜을 잘 활용하며, 위기관리 능력에서 우위를 보입니다. 불펜의 효율성과 안정감이 NC와 비교했을 때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
-
타선:
-
NC는 상위 타선의 집중력은 좋지만, 하위 타선의 부진으로 득점 연결이 매끄럽지 않으며 후반에 리드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한화는 상위 타선의 출루율과 장타력이 뛰어나며, 클러치 상황에서의 집중력이 높습니다. 또한 빠른 선취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
결론:
-
NC는 선발과 불펜에서 모두 불안정한 점이 많고, 타선도 후반 집중력 부족이 문제입니다.
-
한화는 오프너-불펜 전략과 타선의 집중력에서 우위를 점하며, 후반에 경기 흐름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최종 선택
-
일반: 한화 승
-
승1패: 한화 승
-
핸디캡: 한화 승
-
언더오버: 언더
두산 베어스 (두산)
-
선발: 최민석 (오프너)
-
특징: 선발 등판 이력이 부족하며, 불펜 총력전이 불가피합니다. 최근 피칭 데이터도 부진하고, 불펜의 기복이 심합니다.
-
불펜: 시즌 ERA 4.24, 최근 5경기 3패, 평균 실점 4.7점. 셋업진과 마무리 모두 WHIP 1.2~1.4로 주자 관리에서 약점을 드러냄. 이닝마다 투수 교체가 빈번하고, 장타 허용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타선: 상위 타순은 출루율과 OPS가 강점이지만, 하위 타순의 부진과 득점권 집중력 기복이 문제입니다. 최근 후반 무득점 이닝이 많고, 불펜이 소모될 경우 대량 실점의 위험이 커집니다.
-
SSG 랜더스 (SSG)
-
선발: 앤더슨
-
특징: ERA 2.32, WHIP 0.97, WAR 1.73으로 리그 정상급 페이스. 삼진 능력 77K, 피안타율 0.210, 볼넷 억제력이 뛰어나며 위기 관리 능력이 탁월합니다.
-
불펜: 팀 ERA 3.60으로, 최근 연투 부담이 적고 7~9이닝에서 실점 억제력이 강합니다. 불펜 안정감이 높아 중후반까지 우위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타선: 리그 중하위권이지만, 중심 타선의 한 방과 후반 집중력이 돋보입니다. 최근 5경기 중 3경기에서 5득점 이상 기록하며 득점권 집중력이 회복세를 보입니다.
-
분석
-
선발-불펜 매치업:
-
두산은 최민석을 오프너로 내세우며 불펜 운영에 의존해야 하고, 불펜의 기복과 위기 관리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연투 부담이 누적되면 대량 실점의 위험이 크며, 초반 타선의 연결력은 유리할 수 있지만 후반 약점이 도드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
SSG는 앤더슨의 압도적인 성적과 불펜 안정성을 바탕으로, 중후반까지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앤더슨은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피칭을 이어가며, 불펜 역시 리그 상위권 실점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
타선:
-
두산은 상위 타순에서 집중력은 있지만, 하위 타순의 부진으로 득점 연결에 문제가 있습니다. 후반 이닝에서 득점권 집중력 기복이 문제로, 불펜 소모 후 대량 실점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SSG는 타선이 중하위권이지만, 후반 집중력이 강하고 중심 타선의 한 방이 돋보입니다. 최근 경기에서 득점권 집중력 회복이 긍정적입니다.
-
-
결론:
-
두산은 선발-불펜의 불안정성과 후반 집중력 부족이 문제입니다. 불펜 소모 후 대량 실점할 가능성이 크며, 기복이 심한 타선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SSG는 앤더슨의 압도적인 성적과 불펜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중후반까지 우위를 이어가며 경기를 장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최종 선택
-
일반: SSG 승
-
승1패: SSG 승
-
핸디캡: SSG 승
-
언더오버: 언더
롯데 자이언츠 (롯데)
-
선발: 나균안
-
특징: 볼넷, 피장타, 이닝 소화 한계가 반복적인 문제입니다. 포크볼에 지나치게 의존하며 2이닝 이후 피OPS 상승과 5이닝 이상을 소화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좌타자 약점과 주자 누적 시 집중타 허용이 많아 불안한 제구와 함께 3~4실점 리스크가 큽니다.
-
불펜: 3~4점대 ERA 자원들이 다수 포진되어 있고, 연투로 인한 피로 누적과 중반 이후 대량 실점 가능성이 높습니다.
-
타선: 상위 타선의 폭발력은 좋으나, 하위 타순과 중반 이후 득점 루트 단절과 득점권 집중력 부족이 문제입니다. 초반 타선의 힘은 있지만, 후반에 약점이 드러날 가능성이 큽니다.
-
LG 트윈스 (LG)
-
선발: 임찬규
-
특징: 리그 최상위권의 안정감과 위기 관리 능력이 뛰어나며, 포심-커브-체인지업의 조화로 타자들의 타이밍을 무너뜨립니다. 좌우 구분 없이 실점 편차가 적고, 최근 세 경기 모두 6이닝 이상 2실점 이하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안정감을 자랑합니다.
-
불펜: 셋업부터 마무리까지 안정적인 라인업을 구축하며, 이닝 분산과 실점 억제 능력이 뛰어납니다.
-
타선: 상하위 타선 모두에서 생산성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최근 4경기에서는 6득점 이상을 기록하는 등 끈질긴 공격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하위 타선에서도 클러치 타점과 멀티히트가 자주 발생하여 경기 내내 득점 루트가 열려 있습니다.
-
분석
-
선발-불펜 매치업:
-
롯데는 나균안의 불안정한 제구와 볼넷, 장타 허용 문제로 선발이 오래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불펜의 피로 누적과 함께 중후반 대량 실점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
LG는 임찬규의 안정적인 선발 피칭과 불펜의 실점 억제 능력이 돋보이며, 경기 내내 중후반까지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
타선:
-
롯데는 상위 타선의 폭발력이 있지만, 하위 타순과 중반 이후 득점권 집중력 부족이 문제입니다. 후반에 타선이 끊기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면 무너질 가능성이 큽니다.
-
LG는 상하위 타선의 고른 생산성과 후반 집중력이 강점입니다. 클러치 타점과 멀티히트로 경기 흐름을 이어가며, 득점 루트가 이어지는 강점을 보입니다.
-
-
결론:
-
롯데는 선발 불안정성과 불펜의 피로 누적이 문제입니다. 후반 대량 실점 가능성과 득점권 집중력 부족이 패착이 될 수 있습니다.
-
LG는 안정적인 선발과 불펜의 안정성, 그리고 고른 타선의 집중력 덕분에 중후반까지 우위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최종 선택
-
일반: LG 승
-
승1패: LG 승
-
핸디캡: LG 승
-
언더오버: 오버
키움 히어로즈 (키움)
-
선발: 하영민
-
특징: 최근 ERA 7점대로 실점 억제력에 큰 문제가 있습니다. 볼넷과 피안타가 급증하면서 고척 홈에서도 실점 집중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좌타자 상대 피안타율이 높고, 주자 있을 때 실점률이 급증하는 불안한 제구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정구 구사에서 일관성 부족, 후반 실점 집중 문제로 5이닝 내외 다실점이 예상됩니다.
-
불펜: 완전히 무너진 상태로, 최근 3경기 연속 이닝 소화 실패와 대량 실점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셋업과 마무리 모두 불안정, 연투로 인한 피로 누적이 후반 실점 억제 실패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
타선: 최근 하위권에 머물고 있으며, 팀 타율 2할2푼대로 장타력이 실종되고, 득점권 집중력도 떨어져 있습니다. 출루율 낮고, 하위 타선의 연결이 부족하여 초반 득점 후 중후반 침묵하는 경향이 고착화됐습니다.
-
삼성 라이온즈 (삼성)
-
선발: 후라도
-
특징: 올 시즌 9번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이닝 소화와 실점 억제 모두 리그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좌우 타자 상대로 피안타율 2할3푼을 기록하며, 장타 억제력도 뛰어나고 볼넷 허용이 적습니다. 예상대로 6~7이닝 2실점 이하의 안정적인 투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불펜: 최근 3경기 ERA 2~3점대 초반을 기록하며, 셋업과 마무리가 명확히 분업되고, 이닝 분산과 등판 간격 관리가 잘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서도 삼진과 땅볼 유도 능력이 뛰어나, 실점 억제에 강점을 보입니다.
-
타선: 최근 5경기에서 5.5득점을 기록하며, 팀 타율 2할7푼으로 상승세를 보입니다. 장타력과 하위 타선의 출루 및 연결이 활발해 득점권 집중력도 높습니다. 초반부터 후반까지 꾸준히 점수를 내는 능력이 있습니다.
-
분석
-
선발-불펜 매치업:
-
키움은 하영민의 불안정한 제구와 후반 실점 집중 문제가 크고, 불펜 붕괴와 피로 누적으로 인해 경기가 후반으로 갈수록 무너질 가능성이 큽니다.
-
삼성은 후라도의 안정적인 선발과 불펜의 견고함 덕분에 6~7이닝 안정적인 투구가 예상되며, 후반부 대량 득점 가능성도 높습니다.
-
-
타선:
-
키움은 하위 타선의 생산력 부족과 득점권 집중력 부족으로 고전하고 있으며, 타격 반등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
삼성은 중심 타선의 장타력과 하위 타선의 출루 및 연결이 활발하여 득점권 집중력이 좋고, 초반부터 후반까지 지속적인 득점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
-
결론:
-
키움은 선발 불안정성과 불펜 붕괴, 약화된 타선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
삼성은 안정적인 선발-불펜과 폭발적인 타선 덕분에 경기 내내 우위를 점할 확률이 높습니다.
-
최종 선택
-
일반: 삼성 승
-
승1패: 삼성 승
-
핸디캡: 삼성 승
-
언더오버: 오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