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3대 부자, 예술계 핵인싸…서울 상륙하다
컨텐츠 정보
- 282 조회
- 목록
본문
부와 예술의 상관관계는, 때론 지루한 클리셰다. 메디치 가문에서 거트루드 스타인, 페기 구겐하임까지 수백 년에 걸쳐 부를 가진 자들은 어김없이 미술품 수집과 예술가 후원에 열정을 쏟았다. 전설 뒤엔 구설도 따랐다. 단지 부와 명예를 과시하려 했다거나, 비즈니스의 어두운 면을 감추기 위한 이미지 세탁 용도였다는 (역시나 뻔한) 그런 이야기들 말이다.
21세기 예술계가 요구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핵심은 ‘왜?’라는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에 있다. 그저 예술을 사랑해서 혹은 어떤 작가를 순수하게 후원하고 싶어서였다는 대답은 이제 별 감동을 주지 못한다. 역사 속 누군가가 했던 일의 동어반복일 뿐이어서다. 미술품 수집의 개념을 소유에서 공유로, 예술의 후원 목적을 아티스트 개인이 아니라 일반 대중으로 확장한 이가 있다. 지난 10여 년간 아시아를 넘어 세계 예술계에서 ‘큰손 컬렉터’로 떠오른 홍콩의 억만장자 에이드리언 청(Adrian Cheng) K11그룹 회장(45)이다. 보유 자산만 289억달러(약 39조원)에 달하는 ‘홍콩 3대 부호’ 청 가문의 3대 후계자인 그가 지난 20년간 세계 예술계에 끼친 영향력은 ‘부자들의 클리셰’로 치부하기엔 그 규모와 깊이가 넓고 깊다.
현대미술의 대작들을 아시아에 최초로 소개하고, 1000여 명의 아시아 신진·중견 작가를 후원하는 한편 누구나 일상에서 동시대 예술을 곁에 둘 수 있는 공공의 공간을 다수 마련했다. 사람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줄 수 있는 일이라면 패션과 공예, 미디어 아트 등 장르를 넘나들며 자금을 후원했고, 2000회가 넘는 대규모 전시회를 열었다. 세계의 미술관, 박물관은 물론 패션·디자인 재단과의 네트워크를 다져온 그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홍콩계 중 최연소 문화공로 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의 끈질긴 예술 여정의 올해 정착지는 한국이다. 15년 넘게 한국을 오가며 ‘한국인의 창의력’에 박수를 보내온 그는 K11 아트 파운데이션 한국 법인을 지난 12일 공식 출범했다. 한국의 예술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후원하고, 동시대 예술을 역사의 한 축으로 만들기 위한 예술 커뮤니티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서울 한남동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300여 명의 한국 예술계·기업인과 만난 그는 대화 중 여러 차례 ‘상상력’과 ‘예술적 본능’에 대해 이야기했다. “우리 모두 (예술가였던) 어린 시절로 돌아가 마음껏 상상하고, 그때처럼 꿈을 꿀 수 있다면 누구나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었다.
청 회장은 한국의 예술 애호가와의 첫 만남을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에서 글로 먼저 시작한다. ‘에이드리언 청의 아트 살롱’ 칼럼을 통해 파워 컬렉터이자 예술 애호가로서, 한국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가지고 매달 찾아온다. 그와 오랜 인연을 이어온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계 인맥이 총출동할 예정이다.
"백남준 보유국 韓은 창의성 넘치는 나라…숨은 보석 후원할 것"
에이드리언 청과의 일문일답
K11 아트 파운데이션 유럽 이어 서울 오픈에이드리언 청과의 일문일답
아티스트와 큐레이터 육성하는 비영리재단
내 인생 가장 큰 목표, 예술 장벽 없애는 것
백남준 아트 사랑하고 이불·서도호 눈여겨봐
‘Crazy Rich Asian(슈퍼리치를 넘어선 아시아의 부자)’ ‘아트 컬렉터계의 큰 손’. 에이드리언 청에게 따라다니는 수식어다. 말 그대로다. 그는 보유한 재산만 39조원이 넘는 ‘홍콩 3대 재벌’ 청 가문의 3대 후계자다. 하버드대를 졸업한 청은 2006년부터 가문의 주력 사업이자 홍콩 최대 부동산기업인 뉴월드개발 최고경영자(CEO)에 올랐다. 에이드리언 청은 지난 약 20년간 세계 문화예술계를 뒤흔들었다. 우선 2008년 홍콩에 예술과 리테일을 결합한 K11뮤제아를 세워 이 지역을 단숨에 ‘아트의 실리콘밸리’로 만들었다. 비영리재단 K11 아트 파운데이션을 통해 1000명이 넘는 신진·중견 작가를 후원하고, 대규모 전시회만 2000회 넘게 열었다. 그런 그가 지난 12일 서울 한남동에 ‘K11 아트 파운데이션 서울법인’을 공식 출범했다. 이날 행사에는 300명이 넘는 기업인과 예술계 인사들이 모였다. 행사에 앞서 에이드리언 청을 단독 인터뷰했다. 인터뷰 영상은 한경아르떼TV 뉴스룸에서도 22일 방영된다. 다음은 일문일답.
Q. K11 재단이 한국에 본격 진출했습니다. 아시아의 많은 나라 중 왜 서울을 택했습니까.
A. 15년 전 처음 한국에 온 뒤부터 사랑에 빠졌습니다. 창의성이 넘치는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패션, 미술, 건축 디자인, 공예 심지어 커피와 음식 등 식문화까지 모든 면에서 창의적인 나라죠.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은 더 창의적이고 열정적입니다. K11이 한국에 온 이유는 창의성으로 흘러넘치는 이 땅에 나의 뿌리를 심고 세상과 대화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로컬 아티스트들과의 컬래버를 통해 문화적인 인프라를 키우기 위해서이기도 하지요. 저는 이런 제 꿈을 펼치기에 한국이 최적의 장소라고 생각합니다.
Q. 한국 예술과 패션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듣고 싶습니다.
A. 한국의 문화는 의심의 여지 없이 독특합니다. 한국만이 가진 고유의 전통과 역사가 패션, 예술, 음식부터 건축까지 모든 곳에 녹아 있어요. 그 매력을 잘 살릴 줄 아는 것이 한국이 가진 가장 큰 장점입니다. 한국 아티스트 중에선 비디오 예술의 세계를 개척한 백남준을 사랑합니다. 이불의 작품들도 좋아해요. 건축을 한국 전통 패브릭과 결합한 작업방식을 고수해온 서도호의 예술 세계는 정말 인상 깊습니다.
Q. 서울 거점을 통해 세계 예술계에서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저는 세상의 모든 사람이 장벽 없이 예술이라는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인생의 목표입니다. 옛날엔 예술이 ‘고급’이며 여유가 있는 사람만 접근할 수 있었죠. 하지만 저는 이제 예술이 일상 안으로 녹아들어 모든 사람이 즐길 수 있게 되길 원합니다. K11이 세상에 원하는 것도 그것입니다. 10년 또 20년 후엔 저는 이 상상을 현실로 이루고 싶습니다. K11 하는 일의 좁은 의미는 전문 아티스트, 큐레이터를 키우는 것입니다. 넓고 장기적인 의미는 관객과 함께 ‘예술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입니다.
Q. 예술과 패션은 뗄 수 없는 관계가 됐습니다. 예술과 패션의 교집합에 주목하는 이유는.
A. 미술과 패션 모두 ‘인간의 창의력이 만든 산물’이라는 점에서 비슷합니다. 사람들의 일상 가운데 녹아있다는 점도 닮았죠. 저는 이 두 영역이 만났을 때 단순히 두 개가 섞이는 물리적인 결과가 아니라 흥미롭고 독창적인 화합물이 탄생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언제나 아이처럼 생각하고 상상하며 살아야 해요. 디자인과 패션처럼 사람들에게 가까이 있는 존재들이 예술과 함께 ‘꿈꾸고 상상하는 게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려움 없이 망상하고 즐기는 방법을 전하는 것이죠.
Q. 창의력으로 주목받는 한국이지만 아직 예술적 인프라는 선진국 수준이 아닙니다.
A. 15년 전부터 한국을 찾았는데, 해마다 문화 인프라의 성장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빠릅니다. 문화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 민간과 정부의 공통된 노력이 녹아있는 것 같습니다. K팝, 영화, K드라마뿐만 아니라 다른 서브컬처들도 매우 뛰어나게 성장했어요. 한국엔 숨은 고수가 매우 많습니다. 재능있는 사람이 많고, 그들이 내놓는 결과물들이 세계 시장에서 ‘먹힌다’는 건 이미 증명된 사실이죠.
Q. K11 설립 이전과 이후, 예술계와 홍콩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무엇입니까.
A. 예술에 대한 장벽이 낮아졌어요. 이전과 달리 사람들은 K11이라는 복합 문화쇼핑몰을 통해 아주 쉽게 예술품을 감상하고 즐기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더 이상 예술이 ‘특권층만의 것’이 아니게 됐다는 점이 가장 큰 변화지요. 예술을 통한 사회공헌에 힘 쏟는 이유는 더 많은 사람에게 다양한 예술 장르의 접근성을 높여 주기 위해서입니다. 관객에게도, 신진 작가에게도요. 수익을 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런 꿈과 상상을 현실로 만들려면 비즈니스 모델은 당연히 필요한 것이죠.
Q. 어릴적부터 지금까지 왜, 어떻게 예술에 심취하게 됐나요.
A. 예술은 어려운 게 아닙니다. 본능과 같은 것이죠. 사람들은 그 본능을 잊고 삽니다. 학생이 되고, 직업을 갖고, 엄마나 아빠가 되고, 어른으로 성장하고, 도시에 살면서 점차 아름다운 것에 대한 추구와 창의적인 열정을 잊고 삽니다. 패션을 포함해 넓은 의미의 ‘아트’는 그런 숨어있던 예술의 본능 즉 나의 본연의 모습을 일깨워주는 하나의 도구와 같습니다. 길거리에서, 자주 가는 쇼핑몰에서, 매일 출퇴근하는 사무실에서 예술을 접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한국인 특히 20, 30대 젊은이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습니까.
A. ‘왜 안돼?’라는 생각을 항상 갖고 살아갔으면 합니다. 사람들은 매일 정답만을 찾으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정해진 답은 없으니까요. 모든 개인은 각자의 창의성이 있고 꿈꿀 권리가 있으며, 그걸 현실로 만들 힘이 있습니다. 언제나 상상하고 꿈꾸며 그 세상을 현실로 이루기 위해 노력하세요. 우리 모두가 예술가니까요. 그런 사고방식이 결국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만난 사람=문화부 김보라 차장 / 정리=최지희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