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중앙]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결…아랍 첫 FTA
컨텐츠 정보
- 305 조회
- 목록
본문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29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UAE 대통령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사열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국빈 방한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중동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은 처음이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브리핑에서 “FTA는 상품·서비스·교역 자유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CEPA는 여기에 투자 분야가 추가되는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한·UAE CEPA는 한국이 체결하는 24번째 자유무역협정이다.
양국 간 CEPA가 발효되면 향후 10년에 걸쳐 상품 품목 수 기준 각각 92.5%, 91.2%의 시장을 상호 개방하게 된다. 또 무기류와 10인 이상 대형 전기차·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의 관세가 즉시 철폐된다. 기계류의 상당수는 5년 내, 자동차 및 부품과 가전제품 등은 최장 10년 내 관세가 철폐된다. 박 수석은 “아직 UAE와 CEPA를 체결하지 않은 미국, EU,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에 비해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정상회담 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비롯한 19건의 협정·MOU·의향서 서명식에 임석했다. 양국은 먼저 현재 400만 배럴인 공동원유비축사업 확대 논의를 위한 양해각서와 수소 협력사업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한 정부 간 양해각서를 체결됐다.
또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각각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건조의향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대형 LNG 운반선을 최소 6척(약 15억 달러·2조원) 수주할 수 있게 됐다. 원자력 분야에선 바라카 원전을 통한 양국 간 협력에 기반해 후속 원전 건설, 원자력 연료 공급망, 소형모듈원전(SMR) 등의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협력 범주를 AI를 비롯한 첨단분야로 확장해 나가기로 하고, AI 기업 협력 파트너십과 AI 공동연구를 비롯해 AI 분야 협력 방안을 더욱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서비스 시장에서는 UAE가 다른 나라에 개방하지 않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 분야를 우리나라에 최초로 개방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UAE 국부펀드의 300억 달러(40조원 규모) 투자도 재확인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300억 달러(40조원 규모) 투자 공약이 충실히 이행되고 있는데 만족감을 표했다”며 “이번에 UAE 측이 60억 달러(8조원 규모) 이상 규모의 투자 기회 검토에 들어가는 등 투자 협력이 원활히 이뤄진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월 한국 정상으로서는 최초로 UAE를 국빈 방문해 무함마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며 300억 달러의 투자 약속을 받아낸 바 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300억 달러 투자의 구체적인 내용을 묻는 질의에 “지난해 1월 300억 달러 투자 약속 이후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상당 부분의 투자가 이미 이뤄졌다”며 “다만, UAE의 대외관계 문화 특성상 밝히기 어렵다”고 답했다. 방산 분야 협력에 대해서는 “현재 국산 차세대 헬기와 전투기는 물론 UAE의 방어망을 확고히 구축하는 데 필요한 우리의 역량을 하나하나 협의해 가고 있고, 하나씩 확정돼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함께 이날 오전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 무함마드 대통령을 영접하고 의장대를 사열했다.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축하 비행에 나섰고, 전통의장대와 취타대 100명, 아크부대원 500여명, 어린이 환영단 130여명이 공식 환영식에 참여해 알 나흐얀 대통령의 방한을 환영했다.
이어 윤 대통령과 무함마드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으로 이동해 국빈 오찬을 가졌다. ‘중동의 큰손'을 손님으로 맞이한 만큼 경제계 총수도 총출동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 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허태수 GS 그룹 회장 등이 국빈 오찬에 참석했다.
현일훈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