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기토토 - 메이저사이트 꽁머니 정보제공

뉴스

[한경비지니스]“괜찮은데?” 소셜미디어 광고 보고 클릭 했다가 돈 떼여

컨텐츠 정보

본문

7.jpg

 



1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1∼2023년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접수된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 건수는 모두 2064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상담 건수는 ▲ 2021년 251건 ▲ 2022년 441건 ▲ 2023년 1372건 등으로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런 쇼핑몰은 국내에서 운영되는 업체와 해외에서 운영되는 업체 모두 포함된다.


관련 상담 중 접속 경로가 확인된 1821건 가운데 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톡·카페·트위터·틱톡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접속이 1499건(82.3%)으로 대다수였다.


▲인스타그램 762건(41.8%)▲유튜브 460건(25.3%)▲페이스북 137건(7.5%)▲인터넷 광고 192건(10.5%)▲웹서핑과 검색 94건(5.2%) ▲지인 추천 등 기타 36건(2.0%) 순이다.


피해 유형은 ‘브랜드 사칭’이 972건(47.1%)으로 최다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 사칭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를 한 사람들에게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채 연락을 두절하는 수법이 대다수였다.


광고와 달리 저품질 제품을 판매한 경우는 959건(46.5%)으로 뒤를 이었다. 해당 쇼핑몰들이 환불을 거부하고 구매대금의 일부 환급만 제안하는 사례가 많았다.


유명인을 사칭해 제품을 판매한 사례가 43건(2.1%), 성분 및 제조사가 불분명한 식품·의약품을 판매한 경우가 31건(1.5%)이다.


소비자원은 메타와 구글에 불법·유해 콘텐츠와 광고 차단을 위한 협조를 요청하고 불법 사기 쇼핑몰에 대해 방통위 등과 협력해 접속 차단을 추진한다.


소비자원은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싸게 파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일단 의심하고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해 인터넷 주소(URL) 비교하거나 구매 후기를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또 피해 발생에 대비해 계좌이체가 아닌 카드로 결제하고 증빙자료를 남겨두라고 조언했다.


비자·마스터·아멕스카드와 유니온페이 등은 해외 거래 소비자가 사기 의심·미배송·환불 미이행 등의 사유로 일정 기간 내 신청하면 거래 승인을 취소해 주는 ‘차지백 서비스’를 운영한다.


정유진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66 / 1 페이지
    새로운 메시지 0

    먹튀사이트


    홍보ZONE


    스포츠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