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비지니스]‘중국발 가성비 AI’의 등장…전 세계 뒤흔든 딥시크 충격 [베인의 위닝 전략]
컨텐츠 정보
- 14 조회
- 목록
본문
올해 설 연휴 글로벌 테크 업계는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격변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테크 기술을 주로 다루지 않던 미국 뉴욕포스트마저 1면에 ‘적색 경보: 중국 AI의 ‘스푸트니크 모먼트’가 미국 주식시장의 패닉을 불렀다’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실었을 정도로 영미권 여론은 크게 동요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직후 엔비디아, AMD, 인텔 등 주요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고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기업들의 주가도 20% 이상 하락하는 등 시장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다.
표면적으로는 딥시크의 파격적인 개발 비용 절감이 주목받았다. 오픈AI가 GPT-4를 개발하는 데 1억 달러와 1만6000대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필요로 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딥시크는 불과 600만 달러와 2000대의 GPU만으로 유사한 성능을 구현했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베인앤드컴퍼니가 이들 AI의 성능을 자체적으로 테스트한 결과에 따르면 딥시크는 정보 검색과 추론 능력에서 실제로 GPT-4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된다. 오픈AI와 견줘볼 때 90% 이상 낮은 비용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AI 성능을 구현한 것이다.
사실 ‘가성비 AI’의 등장은 그리 놀랍지 않다. AI 추론 비용이 매년 10배씩 감소해온 것은 자연스러운 진화의 결과로 보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2022년 초 GPT-3의 토큰당 60달러였던 비용이 2024년 초 0.1달러까지 하락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더 큰 충격은 중국의 무명 오픈소스 스타트업이 미국 테크 업계의 최신 기술을 총동원해 단숨에 선두권에 진입했다는 점이다.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딥시크가 단순히 비용 절감을 이룬 것이 아니라 AI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보고 있다.
2023년 설립된 이 회사는 중국 퀀트펀드 하이플라이어의 지원을 받아 200명도 채 되지 않는 인력으로 이러한 성과를 냈다. 이는 AI 개발이 더 이상 거대 테크 기업들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