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탄생시킨 '대만 AI 생태계'…부품사 영업익 100% 급증
컨텐츠 정보
- 24 조회
- 목록
본문
대만 AI산업 왜 강한가
(1) 50년 다진 '부품 밸류체인'…AI 붐 타고 폭풍성장
대만, 더 이상 TSMC만의 나라 아니다
반도체-서버-HW 완제품
'AI 밸류체인' 더 촘촘해져
폭스콘, AI 서버 세계 1위로
미디어텍은 AP 최강자 부상

대만 타이베이에서 15㎞ 거리에 있는 신베이시 투청산업단지. 18일 찾은 이곳은 사실상 ‘폭스콘 타운’이었다. 대형 건물에는 어김없이 폭스콘 간판이 달렸고, 빈 땅에는 폭스콘과 관련된 초대형 빌딩의 뼈대를 올리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애플 아이폰 조립이 전부이던 폭스콘은 2017년 인공지능(AI) 서버 사업과 2020년 전기차 수탁생산 사업에 뛰어들어 단순 전자조립 공단이던 이곳을 첨단 산업단지로 탈바꿈시켰다. 엔비디아 생태계에 들어가 세계 1위 AI 서버 제조업체(점유율 40%)가 된 데다 일본 미쓰비시 전기차를 개발·생산하는 ‘자동차업계의 TSMC’가 된 덕분이다. 외신들이 폭스콘을 20일 타이베이에서 개막하는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5’의 주인공으로 지목한 이유다.
대만을 ‘TSMC의 나라’로 부르는 것은 반만 맞는 말이다. 대만에는 전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1위인 TSMC 외에도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핵심 장비와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여럿 있다. 엔비디아 AI 서버 생태계에 들어간 주요 10개 대만 기업(폭스콘, 콴타, 위스트론, 인벤텍, 델타일렉트로닉스, 위인, 야교, 유니마이크론, 트라이팟, 에이스피드)의 지난해 매출은 10조9646억대만달러(약 507조원)로 전년 대비 15.7%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274억대만달러(19조7910억원)로 27% 증가했다.
대만의 AI 파워는 반도체부터 서버, 하드웨어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촘촘한 가치사슬에서 나온다. AI 하드웨어의 핵심인 스마트폰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세계 1위(점유율 34%)는 미국 퀄컴이 아니라 대만 미디어텍이다. 대만은 또 다른 AI 응용처인 PC 시장 세계 5·6위(에이수스, 에이서) 업체도 품고 있다.
대만이 ‘AI 하드웨어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가 경제도 날아오르고 있다. 올 1분기 대만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해 시장 예상치(3.6%)를 크게 웃돌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 대만의 1인당 국내총생산(3만6319달러)이 한국(3만5880달러)을 제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17일 오후 대만 타이베이에 있는 전통 레스토랑 전요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단골 식당으로 알려진 이곳에 젠슨 황 CEO와 TSMC, 미디어텍, 콴타, 위스트론, 인벤텍 등 대만 정보기술(IT) 기업 CEO들이 총출동했다.
‘인공지능(AI) 거물들의 회동’으로 불린 이날 모임 참석자들을 하나로 묶은 공통점은 ‘엔비디아 AI 가속기’였다. 여기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공급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서버를 제조하는 업체들이어서다. 이들 기업에 문제가 생기면 엔비디아 생태계는 붕괴된다. AI업계의 ‘슈퍼 갑’으로 통하는 젠슨 황 CEO가 이날 협력사 경영진을 접대하며 “AI 인프라의 중심은 대만”이라고 치켜세운 이유다.

구글, 메타 등 빅테크는 AI 서버 등 데이터센터의 핵심 하드웨어도 대만에 의존하고 있다. 세계 AI 서버 시장의 90%를 장악한 폭스콘, 콴타, 위스트론 등 대만 기업과 손 잡지 않으면 AI데이터센터를 지을 수 없다는 얘기다. 대만은 서버의 열을 식히는 냉각 시스템과 AI 가속기를 쌓아 넣는 모듈 등 AI 서버 핵심 기술도 독식하고 있다. 대만 에이스피드는 AI 서버에 들어가는 기판관리컨트롤러(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