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전력난에 열차 전복, 400명 이상 사망…시체처리 전담반도"
컨텐츠 정보
- 398 조회
- 목록
본문
레일 위 달리는 북한 열차. (기사 내용과 무관)
지난해 12월 평양에서 출발해 함경남도 검덕(금골)으로 향하던 여객열차가 전기부족으로 고개를 넘지 못해 전복되면서 수백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북한 당국은 ‘시체처리 전담반’까지 조직했지만 여전히 사고수습이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RFA는 함경남도의 한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12월 26일 저녁 평양-금골행 열차가 단천 일대에서 전복돼 4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사고가 난 금골행 열차는 함경남도 단천역을 지나 동암역에서부터 리파역 사이 높은 고개를 넘으려고 시도하다가 노후화된 철로와 전력난으로 넘지 못하고 밀리면서 전복됐다고 현지 소식통이 전했다.
열차는 25일 오전 평양에서 출발한 것으로 평양에서 금골까지 정시 운행시간은 13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단천역에서 여해진-천곡-답동-가응-광천-운천역을 지나면 동덕역에서 경사가 시작되는데 동암-수촌-신평-리파역까지 철로는 해발 700미터의 높은 산간지역에 있다.
소식통은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26일 단천역 주변에 폭설이 내렸다며 “급경사가 시작되는 동암역부터 열차 속도가 느려지더니 리파역으로 올라가는 철로에 이르러 기관차 견인기 전압이 약한 탓에 헛바퀴가 돌다가 열차 전체가 뒤로 밀리기 시작했다”고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기관사가 제동했으나 밀려 내려가는 열차가 가속도가 붙으면서 신평역 인근 산굽이를 돌 때 가운데 열차가 탈선하면서 열차 뒷부분 객차들이 산 밑으로 떨어졌고 계속해 동암역으로 가던 도중 연이어 열차가 탈선해 골짜기로 굴러떨어졌다”고 증언했다.
그러면서 “기관차 바로 뒤에 연결된 2량의 상급열차는 탈선되지 않고 기관차와 함께 단천역까지 밀려 내려와 멈추면서 상급열차에 탄 간부들은 살았고, 나머지 7개의 열차에 탔던 주민들은 대부분 사망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여객 열차는 일반적으로 9~11량 연결해 운행하며 앞쪽 1~2량은 간부 전용 상급열차이며 이어 수화물 차량 1량, 일반승객용 7량이 연결된다.
소식통은 이번 사고로 뒤에 연결된 일반여객 차량 7량이 모두 추락해 승객들 대부분이 사망했다며 열차 1량의 정원이 60명으로 사망자수가 400명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평양-금골행 열차는 대흥에서 나오는 왕감자나검덕에서 나오는 연과 아연 등 금속을 내륙으로 나르는 장사꾼들이 많이 이용해 항상 만원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소식통은 함경남도 사회안전부와 교도대 인원들 중심으로 전복사고 수습과 시신 처리 전담반이 만들어졌다면서 “열차가 전복된 단천 일대에서 구출된 중상자들이 단천시 병원에 옮겨졌으나 병원에서 대부분 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평양-금골행 여객열차에는 단천 검덕광산으로 집단 파견으로 나가던 20대 청년들도 있고 생계로 장삿길에 열차를 탔던 여성 주부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1998년 11월에도 함남 단천일대 급경사 철로에서 평양-금골행 여객열차가 정전사고로 전복되면서 수백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이번과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고 전했다.
2017년 함경남도 단천에서 탈북한 김철민(가명) 탈북민은 “단천 주변 고개에서 열차 전복 사고뿐 아니라 해마다 겨울이면 자동차도 추락해 사망자가 생긴다”며 “여행증명서가 없는 사람들이 뇌물을 주고 열차에 많이 타기 때문에 열차가 전복되면 좌석 숫자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RFA는 함경남도의 한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해 12월 26일 저녁 평양-금골행 열차가 단천 일대에서 전복돼 4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사고가 난 금골행 열차는 함경남도 단천역을 지나 동암역에서부터 리파역 사이 높은 고개를 넘으려고 시도하다가 노후화된 철로와 전력난으로 넘지 못하고 밀리면서 전복됐다고 현지 소식통이 전했다.
열차는 25일 오전 평양에서 출발한 것으로 평양에서 금골까지 정시 운행시간은 13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단천역에서 여해진-천곡-답동-가응-광천-운천역을 지나면 동덕역에서 경사가 시작되는데 동암-수촌-신평-리파역까지 철로는 해발 700미터의 높은 산간지역에 있다.
소식통은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26일 단천역 주변에 폭설이 내렸다며 “급경사가 시작되는 동암역부터 열차 속도가 느려지더니 리파역으로 올라가는 철로에 이르러 기관차 견인기 전압이 약한 탓에 헛바퀴가 돌다가 열차 전체가 뒤로 밀리기 시작했다”고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기관사가 제동했으나 밀려 내려가는 열차가 가속도가 붙으면서 신평역 인근 산굽이를 돌 때 가운데 열차가 탈선하면서 열차 뒷부분 객차들이 산 밑으로 떨어졌고 계속해 동암역으로 가던 도중 연이어 열차가 탈선해 골짜기로 굴러떨어졌다”고 증언했다.
그러면서 “기관차 바로 뒤에 연결된 2량의 상급열차는 탈선되지 않고 기관차와 함께 단천역까지 밀려 내려와 멈추면서 상급열차에 탄 간부들은 살았고, 나머지 7개의 열차에 탔던 주민들은 대부분 사망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여객 열차는 일반적으로 9~11량 연결해 운행하며 앞쪽 1~2량은 간부 전용 상급열차이며 이어 수화물 차량 1량, 일반승객용 7량이 연결된다.
소식통은 이번 사고로 뒤에 연결된 일반여객 차량 7량이 모두 추락해 승객들 대부분이 사망했다며 열차 1량의 정원이 60명으로 사망자수가 400명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평양-금골행 열차는 대흥에서 나오는 왕감자나검덕에서 나오는 연과 아연 등 금속을 내륙으로 나르는 장사꾼들이 많이 이용해 항상 만원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소식통은 함경남도 사회안전부와 교도대 인원들 중심으로 전복사고 수습과 시신 처리 전담반이 만들어졌다면서 “열차가 전복된 단천 일대에서 구출된 중상자들이 단천시 병원에 옮겨졌으나 병원에서 대부분 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평양-금골행 여객열차에는 단천 검덕광산으로 집단 파견으로 나가던 20대 청년들도 있고 생계로 장삿길에 열차를 탔던 여성 주부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1998년 11월에도 함남 단천일대 급경사 철로에서 평양-금골행 여객열차가 정전사고로 전복되면서 수백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이번과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고 전했다.
2017년 함경남도 단천에서 탈북한 김철민(가명) 탈북민은 “단천 주변 고개에서 열차 전복 사고뿐 아니라 해마다 겨울이면 자동차도 추락해 사망자가 생긴다”며 “여행증명서가 없는 사람들이 뇌물을 주고 열차에 많이 타기 때문에 열차가 전복되면 좌석 숫자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