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 1분기 순익 1117억원…전년比 33.5% '털썩'
컨텐츠 정보
- 317 조회
- 목록
본문
은행 실적 선방에도…증권사 ‘적자전환’
부동산 PF 추가 충당 등 대손비용 증가탓
DGB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 DGB금융][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DGB금융그룹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줄었다. 주력계열사인 대구은행의 순이익은 6.5% 감소하면서 선방했다. 하지만 증권계열사인 하이투자증권 순이익이 적자전환하며 그룹 순이익을 끌어내렸다.
DGB금융그룹은 2일 실적발표를 통해 2024년 1분기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111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3.5% 감소한 실적이다.
DGB금융 관계자는 “2023년 1분기 비이자이익 호조세의 ‘역기저효과’와 부동산 PF 등 취약 익스포져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가 실적 감소의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은 42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하며 양호했다. 하지만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7% 감소한 1266억원을 기록했다.
그룹 전체 실적은 가파르게 하락했지만, 핵심 계열사인 DGB대구은행의 순이익 하락세는 한자릿수대에 그쳤다.
DGB대구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지난해에 이어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가 이어진 결과다.
DGB대구은행의 1분기 말 기준 대출잔액은 55조5744억원으로 전년 1분기 말 대비 10% 증가했다. 이에 1분기 이자이익은 38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다.
DGB금융 관계자는 “은행 대출자산의 양적 및 질적 성장으로 향후 대손비용이 안정될 시 은행 실적은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비은행계열사 실적을 살펴보면, 하이투자증권 순이익은 49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DGB캐피탈 순이익은 1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6% 감소했다. 부동산 PF 등 취약 익스포져에 대한 대손충당금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DGB금융 관계자는 “고금리·고물가·지정학적 불안 요인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 속 철저한 내부통제와 내실 경영을 통한 자산건전성 안정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PF 추가 충당 등 대손비용 증가탓
DGB금융그룹은 2일 실적발표를 통해 2024년 1분기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111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3.5% 감소한 실적이다.
DGB금융 관계자는 “2023년 1분기 비이자이익 호조세의 ‘역기저효과’와 부동산 PF 등 취약 익스포져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가 실적 감소의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핵심이익인 이자이익은 42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하며 양호했다. 하지만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7% 감소한 1266억원을 기록했다.
그룹 전체 실적은 가파르게 하락했지만, 핵심 계열사인 DGB대구은행의 순이익 하락세는 한자릿수대에 그쳤다.
DGB대구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지난해에 이어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기조가 이어진 결과다.
DGB대구은행의 1분기 말 기준 대출잔액은 55조5744억원으로 전년 1분기 말 대비 10% 증가했다. 이에 1분기 이자이익은 38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했다.
DGB금융 관계자는 “은행 대출자산의 양적 및 질적 성장으로 향후 대손비용이 안정될 시 은행 실적은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비은행계열사 실적을 살펴보면, 하이투자증권 순이익은 49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 DGB캐피탈 순이익은 1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6% 감소했다. 부동산 PF 등 취약 익스포져에 대한 대손충당금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DGB금융 관계자는 “고금리·고물가·지정학적 불안 요인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 속 철저한 내부통제와 내실 경영을 통한 자산건전성 안정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