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기토토 - 메이저사이트 꽁머니 정보제공

뉴스

서울 시내버스 사측 “노조 파업시 무노동무임금 원칙 고수”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의 총파업 예고일이 8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오늘(20일) 서울 중구의 한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버스 업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2년 연속 파업 사태에 대해 시민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파업 시 현행 법률에 근거해 무노동무임금 원칙을 철저히 고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업 조합은 61개 조합원사 중 28개 사의 151개 노선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근로시간 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노조를 압박하는 여론전을 폈습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한 달간 서울 시내버스 기사들의 하루 평균 실근로시간은 1인당 평균 7시간 47분입니다.

사업 조합은 기사들이 그동안 9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하는 ‘약정 근로 시간’을 기준으로 급여를 받아왔기에 1시간 이상 혜택을 받아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운행 사원들의 근무 여건이나 급여 수준이 타 시도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노조가 무리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파업으로 관철하겠다고 고집한다면 시민들로부터 외면받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정환 이사장은 “버스회사는 전체 비용의 70%를 차지하는 인건비 변동이 산업의 생사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어서 근로자와 기업이 상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통상임금 산정과 관련해 임금체계 개편이 교섭 대상인지를 두고도 노사 입장이 맞서고 있습니다.

사업 조합은 임금체계를 그대로 둔 채 노조 측이 요구하는 임금 인상률을 적용하면 실질적으로 임금이 20% 이상 오르게 된다며, 상여금 등을 기본급에 포함하는 임금체계 개편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노조는 반박 자료를 내고 “정기상여금 등을 먼저 포기하라거나 임금체계 개편에 동의하지 않으면 더 이상 대화하지 않겠다는 게 사측 입장”이라며 “이는 대법원판결뿐 아니라 사용자가 통상임금을 줄이기 위해 일방적으로 지급조건만 바꾸는 등의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고용노동부 지침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기자 프로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945 / 4 페이지
RSS
    새로운 메시지 0

    먹튀사이트


    홍보ZONE


    스포츠분석